옴니어스가 뽑은 금주의 패션 키워드 #옴니어스키워드 본 뉴스레터는 PC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테크핀이란? 테크핀은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합성어로, 첨단 정보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 서비스를 뜻합니다. 2016년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 회장이 처음 언급한 개념인데요. “핀테크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 IT를 접목하여 기술을 향상시킨 것인 반면, 테크핀은 IT 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테크핀은 알리바바가 자사의 금융 사업과 기존 금융사의 서비스를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지만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핀테크와 테크핀의 특징과 차이점 그렇다면 핀테크와 테크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각기 먼저 사용된 단어가 서비스의 주체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핀테크는 금융 회사가 주도하는 기술에 의한 서비스라면 테크핀은 정보통신기술 기업의 독자적 기술에 금융을 접목한 개념을 뜻하죠. 핀테크는 편리한 금융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뱅킹의 결제, 송금, 대출, 자산 관리 그리고 금융 플랫폼 관련 서비스가 그 예입니다. 금융 회사가 주도하며 금융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죠. 반면 테크핀은 전통 금융 시장을 넘어 새로운 금융 비즈니스 모델과 시스템 구축이 주목적입니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정보통신기술) 기업의 주도하에 플랫폼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에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는 거죠.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가 국내 테크핀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미지 출처: Medium 해외 테크핀 사례 구글은 금융업에 진출하기 위해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대신 대형 은행사인 씨티그룹, 스탠퍼드대신용협동조합 같은 기존 금융권과 협력하는 전략을 펼쳤습니다. 지난해 ‘구글페이’를 리뉴얼해서 은행 계좌 개설, 간편 송금, 생활비 관리, 소비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죠. 2007년 자체 결제 시스템 ‘아마존페이’를 출시한 아마존은 금융 사업을 꾸준히 확장하고 있습니다.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 없이도 온라인상에서 현금으로 결제할 수 있는 ‘아마존 캐시’, 자체 평가를 통해 기업을 선정해서 운용 자금을 대출해주는 ‘아마존 렌딩’ 서비스까지 개인을 넘어 기업으로까지 규모를 넓히고 있죠. 애플의 경우 2019년에 글로벌 투자 은행 골드만삭스, 마스터카드와 손잡고 실물 카드를 미국에서 출시했습니다. 2014년에 출시된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와 연동된 애플카드는 아이폰 이용자만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강화하는 동시에 자사 기술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국내 패션산업의 테크핀 예시 국내의 경우,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여러 ICT 업체가 테크핀 기업으로 거듭나는 중입니다. 최근 패션 기업 또한 테크핀 영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는데요. 지난 1월 무신사는 자체 간편결제 서비스 ‘무신사페이’를 출시했으며 이후 5개월간 이용자 수가 19배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통장 계좌나 카드를 등록한 다음에는 비밀번호만으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편리함이 큰 요소로 작용한 것이라 분석됩니다. 지난 8월 바바패션의 온라인 몰 바바더닷컴은 이베이코리아가 2014년에 선보인 쇼핑 특화 간편결제 서비스 ‘스마일페이’를 도입했습니다. ‘스마일페이’는 2018년 W컨셉을 시작으로 현재 H패션몰, 코오롱몰, 젝시믹스, 스타일난다 등 많은 패션 온라인 플랫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비즈니스워치 테크핀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많은 국내 기업이 테크핀 영역으로 진출하거나 서비스를 활용하는 가운데, 금융 혁신은 정보통신기술 산업을 넘어 다양한 업계로 빠르게 확산될 것입니다. 팬데믹 이후 비대면 금융 서비스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력이 특징인 테크핀 기술은 온라인 패션 플랫폼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등 신기술 활용이 필수가 되어가는 패션계에서 테크핀 기능이 게임 체인저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옴니어스(주)ㅣ대표이사 : 전재영 | 사업자등록번호 : 417-87-00247 주소 :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45, 12층 l 문의메일 : hello@omnious.com l 홈페이지 : www.omnious.com Copyright © 2020 OMNIOUS Co.,Ltd.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00